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살며 생각하며] 불협화음의 합창

4월 초인데도 바람은 차다. 첼시에 있는 휘트니 미술관 앞은 더욱 그랬다. 사람들은 패딩에 모자까지 쓰고 줄에 서 있다. 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5층으로 올라갔다. 이 전시회를 협찬한 기관들의 이름이 쭉 씌어 있었다. 그중에서도 한국 대기업의 로고 H자가 고딕체로 제일 크게 보였다. 한국이 문화 선진국이 된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전시 제목이 ‘불협화음의 합창(Dissonant Chorus)’이다. 이번 전시를 맡은 큐레이터는 미국 방방곡곡에 소규모 갤러리를 찾아다녔다. 신예 작가들이 현시대 상황에 반응하는 목소리를 모았다고 한다. 인디언 아메리칸, 뉴욕에 거주하는 홍콩인, 남부에 사는 흑인 여자 작가 등 배경이 다양했다.   복도 벽에 AI가 그린 작품이 커다랗게 걸려 있다. 만화의 캐릭터 같은 소녀가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서 있다. 머리카락과 옷소매를 누르면 작품이 변한다고 한다. 이것도 작품이 될까 하고 의아했다. 구상한 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이니, 작품으로 여기는 요즘의 추세다. 벽을 돌아가니, 인공지능에 반대라도 하듯이 손으로 정성껏 그린 추상화가 매달려 있다. 찌그러진 세포 모양의 불규칙한 형체가 여기저기 빨래처럼 드리워져 있다. 천에 아크릴을 바르고 모아온 재활용품, 채취한 씨앗들을 붙였다. 그 위에 또 색을 바르는 몇 겹의 작업을 공들여서 했다. 수전 잭슨(Suzanne Jackson)은 평생 작업을 해왔지만, 80세가 된 지금에야 전시회에 초대받았다. 수십 년 전만 해도 추상화는 고급 예술로 여겨졌고 더구나 백인 남자 작가의 전유물이었다. 지금은 흑인 할머니가 그려서 보란 듯이 내 걸고 있다.     4층으로 내려갔다. 노란 네온 빛이 방 전체에 흐르고 있다. 천정에는 전기 망이 못처럼 가득 박혀있다. 전기선과 네온 빛이 사람에게 투과되어, 모든 행동이 기록되고 감시된다. 몸과 뇌에 충격이 가해지지만, 사람들은 의식하지 못한다. 어느 날 내가 버섯을 샀더니 버섯 요리 정보가 유튜브에 떴다. 내가 피검사를 했더니 특정 수치를 올리는 방법이 떴다. 주문하지 않은 물건을 찾아가라는 연락이 내 이메일로 오기도 한다. 누군가 나의 일상을 훤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니 불편해진다.     저쪽 방에서 꼬불꼬불한 천 조각이 보였다. 아메리카 원주민의 티피가 거꾸로 세워져 있었다. 요즘 세상이 거꾸로 간다는 은유다. 그 옆에서는 지금 문을 닫은 낙태업소의 사진과 전화와 이메일 기록, 폭력에 시달린 여자들의 사진 등 수천 개가 빼곡히 벽에 걸려있다. 낙태권이 허용된 것이 50년도 되지 않는데 최근 로대웨이드 판결 후 미국은 다시 낙태권 분란에 휩싸여있다. 몸은 고유한 개인의 영역인데, 여자의 몸은 항상 정치적 문제에 휘말린다.     마지막으로 작은 밀실 같은 어두운 방에 들어갔다. 상처 자국(site of wounding)이란 제목이 내 눈길을 끌었다. 작가는 3D 컴퓨터로 자기 몸의 입체 모형을 만들고, 메탈과 유리로 만들어 샌딩을 했다. 뒤틀린 육체의 내부 모형이 작가의 고향인 홍콩에서 자라는 나무와 비슷하다고 한다. Aquilaria sinensis 라는 나무는 고급 향을 만들기 위해 쓰이는 나무다. 어린나무의 가지를 자르고 비틀고 사이사이에 곰팡이를 심는다. 상처가 감염되면서 트라우마를 받은 나무는 수액인 레진(resin)을 뿜어낸다. 이 과정에서 향기가 방출된다. 스트레스를 받은 나무가 향을 뿜어내듯이, 인간도 상처에서 새로운 에너지가 나온다고 작가는 말한다.     이런 에너지가 모여서 불협화음 같은 신음을 내는 전시가 맨해튼 한가운데서 열리기도 한다. 미술관을 나오니 해가 올라가 있다. 허드슨 강에서 부는 바람이 훈훈해졌다. 만물이 화협하는 봄은 이미 와 있었다. 김미연 수필가살며 생각하며 불협화음 합창 이메일 기록 낙태권 분란 휘트니 미술관

2024-04-12

[아트 앤 테크놀로지] 휘트니 비엔날레: 설치미술과 테크놀로지

휘트니 비엔날레는 2021년 개최되어야 하는데 팬데믹 때문에 연기되어 2022년 4월 초 열렸다. 휘트니 미술관의 두 큐레이터 데이비드 브레슬린(David Breslin)과 애드리안 에드워즈(Adrienne Edwards)가 주축이 되어 ‘아메리칸 아트’가 무엇인지에 대한 고민을 전시기획에 담아보았다. 현대미술계에서 흑인 미술 작가 및 퍼포먼스 아트 등에 관한 전시를 한 에드워즈는 미니애폴리스 워커 아트 센터에서 2018년 휘트니 미술관으로 옮겨왔다.   이 두 큐레이터는 뉴욕을 벗어나서 활동한 경력을 잘 살려 멕시코와 텍사스 국경 혹은 플로리다와 캐리비언의 여러 섬나라 출신의 작가 및 작품 주제를 골랐다. ‘국경’ 혹은 ‘경계’라는 것이 물리적으로 심리적으로 또한 상징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민해 보았다. 63명의 작가 중에 20명 가까이의 작가들이 미국 영토 이외의 북미 지역, 캐리비언, 남미 등 아메리카 대륙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또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지리적 상황 또한 뉴멕시코, 텍사스, 플로리다, 애리조나 등 국경 지역이 눈에 띈다.     휘트니 비엔날레는 2014년 브로이어 빌딩에서 마지막 전시를 하고 2017년, 2019년, 2022년 (21년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연기) 현재의 허드슨 강가에 마련된 건축가 렌조 피아노의 빌딩에서 열렸다. 2017년에는 다나 슈츠(Dana Schutz)라는유대인 출신 여성 작가의 회화 작품 ‘에멧틸의 죽음’으로 흑백인종 갈등의 입장 차이를 보이며 미술계의 큰 논란을 가져왔다. 2019년 전시는 75명 중에 소수인종 배경의 작가들을 대거 영입하여 2017년의 논란을 잠재우려 하였다. 2022년 전시의 주제 ‘Quiet as it’s kept’라는 구절은 흑인 소설가 토니 모리슨에서 따왔다. 이것은 소리 내 말할 수 없는 트로마, 수치, 인종적 차별 등 어두운 현실의 여러 문제를 가리키는 표현이다. 전시장의 6층은 검은색 벽으로 5층은 흰색 벽으로 구성하여 흑백갈등을 은유적으로 나타냈다.     가상현실과 비디오 게임, 합성 이미지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한 테크놀로지의 변용이 눈에 띈다. 알프레도 하르는 2020년 6월 1일 워싱턴DC에서 열린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대의 모습을 비디오 설치작품으로 보여준다. 흑백으로 찍은 시위대의 평화로운 행진 모습 이후에 저녁 7시 통행금지 시간 한 시간 전부터 시작되는 최루탄과 고무 탄환, 헬리콥터 등을 동원한 폭력적인 시위진압을 경험하게 한다. 비디오 상영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대형 선풍기는 헬리콥터가 시위대의 머리 위로 근접하여 내려올수록 강한 바람을 만들어낸다. 굉음과 몸을 휘청거리게 하는 바람은 비디오에 나오는 얼어붙은 시위대의 공포감, 무력감, 분노 등을 관객들이 감정 이입하여 느끼도록 한다. 천정에서 나오는 대형 선풍기의 ’바람‘은 상상한 것보다 위협적이다. 머리 위 몇 미터 거리에서 근접 강하하는 헬리콥터의 바람이 얼마나 공포스러울 수 있는지는 상상해 볼 수 있다.     한편 이토바라다와 테레사 학경 차의 비디오 작품은 아날로그 시대의 감성을 담은 16mm 필름으로 촬영된 영상이다. 모로코 출신의 여성작가 바라다는 플로리다의 마이애미와 애리조나의 피닉스 등지에 있는 ’기상 가속도(weather acceleration)‘ 테스트 센터의 작업환경을 촬영하였다. 태양에 노출되어 페인트, 의류, 제조상품 포장 등이 변색하는 과정과 시간을 가속하여 테스트하도록 강렬한 태양 아래 설치된 노천 실험실에서 노동자들은 표본을 넣고 빼고 관찰한다.     이번 휘트니 비엔날레의 많은 설치 작품들은 이처럼 환경과 인간의 삶이 공존하면서 서로를 변화시키고 파괴하고 혹은 회복해 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전통적인 ’풍경화‘의 개념에서 많이 벗어나지만 한편으로는 미술관에서 관람하는 19세기적인 풍경화 전통이 얼마나 허구적이고 환상적이었는지를 깨닫게 한다.     이번 전시에 포함된 소수의 작고한 작가 중의 한 명이 테레사 학경 차(1951~1982)이다. 한국 출신의 차 작가는 죽기 직전 출판한 ’딕테 Dictee‘라는 작품이 영문학 및 비교문학에서 중요한 텍스트로 자리 잡아서 미술 작가뿐만 아니라 사상가 내지는 작가로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70년대 버클리 소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 다니면서 인권 운동, 여성의 권리 주장, 및 소수자의 처우 문제 등에 관한 강렬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5층의 창가에 마련된 작은 텐트 안에서 비디오 작품뿐만 아니라 작품 노트, 한국 방문 중에 찍은 사진 등 소규모 아카이브를 찾아볼 수 있다. 31세의 젊은 작가가 갑작스러운 범죄의 희생자로 세상을 떠났지만 40년이 지난 지금 비슷한 유형의 범죄가 팬데믹 동안 더욱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토니 모리슨이 언급하는 인종적 차별에 의한 트라우마가 아직도 지속함을 뼛속까지 느끼게 한다. 변경희 / 뉴욕주립대 교수·미술사 전공아트 앤 테크놀로지 테크놀로지 비엔날레 휘트니 비엔날레 휘트니 미술관 소수인종 배경

2022-04-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